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공부하기/일반상식

📌 경제 분야 필수 상식 용어 정리

728x90
반응형

경제 뉴스나 대화를 보다 보면 “이게 무슨 뜻이지?” 싶은 단어가 정말 많습니다.
오늘은 경제 분야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1. 💰 GDP (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한 나라 안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한 총합입니다.

 

쉽게 말해, “나라 전체가 1년 동안 벌어들인 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높을수록 경제가 활발하다는 뜻
  • 단, 국민이 체감하는 생활 수준과는 다를 수 있음

2. 📈 인플레이션 (Inflation)

물가가 전반적으로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
돈의 가치가 떨어져서, 예전보다 같은 물건을 사려면 더 많은 돈이 필요합니다.

 

예: 1년 전 커피값 3,000원 → 지금 4,000원

  • 원인: 원자재 가격 상승, 수요 증가, 통화량 증가 등
  • 적정 수준(연 2~3%)의 인플레이션은 경제 성장에 도움

3. 📉 디플레이션 (Deflation)

물가가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현상.
좋아 보이지만, 경제가 침체되고 소비·투자가 줄어드는 악순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예: 경기 불황 시, 물건 안 팔림 → 가격 인하 → 기업 이익 감소 → 고용 축소

4. 📊 금리 (Interest Rate)

돈을 빌릴 때 내야 하는 비율, 혹은 예금 시 받을 수 있는 이자 비율.

 

예: 은행 대출 금리 5% → 1억 원 빌리면 1년에 500만 원 이자

  • 금리 인상 → 대출 부담 ↑, 소비·투자 ↓
  • 금리 인하 → 대출 부담 ↓, 소비·투자 ↑

5. 📦 무역수지 (Trade Balance)

한 나라가 수출수입을 비교한 결과.

  • 흑자: 수출이 수입보다 많음 → 돈이 들어옴
  • 적자: 수입이 수출보다 많음 → 돈이 나감

6. 📑 재정적자 (Fiscal Deficit)

정부가 쓰는 돈(지출)이 걷는 돈(세금)보다 많은 상태.

 

가계로 치면, 월급보다 소비가 더 많은 상황

  • 적자가 계속되면 국가 부채 증가

7. 🏦 중앙은행 (Central Bank)

국가의 통화를 발행하고, 금리와 금융 시스템을 관리하는 기관.
한국에서는 한국은행이 해당됩니다.

  • 금리 조정, 통화량 조절, 외환 관리 등 수행

8. 📌 환율 (Exchange Rate)

다른 나라 돈과 우리 돈을 바꾸는 비율.

 

예: 1달러 = 1,300원

  • 원화 가치 ↑ → 수입품 싸짐, 수출 불리
  • 원화 가치 ↓ → 수출 유리, 수입품 비싸짐

9. 📦 소비자물가지수 (CPI)

Consumer Price Index.
가계가 소비하는 상품·서비스 가격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
인플레이션을 측정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10. 📋 경기순환 (Business Cycle)

경제는 확장 → 정점 → 후퇴 → 침체를 반복합니다.
이 흐름을 경기순환이라고 부릅니다.


✍ 마무리

경제 용어를 알면 뉴스가 더 쉽게 이해되고, 투자 판단에도 도움이 됩니다.
다음에는 주식·금융 상품 용어 정리로 찾아올게요!

 


#경제상식 #경제용어 #인플레이션 #GDP #금리 #환율 #재정적자 #무역수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