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공부하기/경제

📘 주식 용어 쉽게 배우기: 선물(Futures)이란?

728x90
반응형

📘 주식 용어 쉽게 배우기: '선물(Futures)'이란?

주식이나 투자에 조금 관심을 가지다 보면 ‘선물’이라는 용어를 자주 듣게 됩니다.
하지만 막상 ‘선물’이 정확히 뭐냐고 물어보면 설명하기가 쉽지 않죠.

“그거 미래에 거래하는 거 아냐?”
“어려워 보여서 그냥 패스...”

그런 분들을 위해 오늘은 ‘선물(Futures)’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실제 투자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 선물(Futures)이란?

선물은 ‘미래의 일정 시점에, 특정 자산을 지금 정한 가격으로 사고팔기로 약속하는 거래’입니다.

말 그대로 ‘미래(Future)’에 대한 약속이죠.

✔ 예를 들어 볼게요

  • 현재 A라는 상품(예: 석유, 주가지수, 주식 등)이 100원입니다.
  • 나는 1개월 후 이 상품 가격이 오를 것 같아요.
  • 그래서 ‘1개월 후에 이 상품을 100원에 사기로’ 지금 계약해놓는 거예요.

1개월 후 실제 가격이 120원이 됐다면?

  • 나는 100원에 사기로 약속했으니 20원 이익!

반대로 80원이 되면?

  • 약속한 가격(100원)에 사야 하니까 20원 손실 😥

📦 선물 거래의 대상은?

선물은 생각보다 다양한 자산을 거래 대상으로 합니다.

거래 대상 예시
원자재 석유, 금, 은, 옥수수, 커피 등
통화 달러, 유로, 엔화 등
금리 미국 국채 등
지수 코스피200, 나스닥100 등
비트코인 암호화폐 선물도 존재!
 

🔄 선물과 현물의 차이는?

구분 현물 거래 (Spot) 선물 거래 (Futures)
시점 지금 사고 지금 받음 지금 약속하고 나중에 거래
가격 현재 시세 미래 시점의 가격을 지금 정함
목적 보통 실물 구입 목적 투자, 투기, 또는 헤지(위험 회피) 목적
 

💡 선물 거래는 누가 할까?

  1. 투자자 (수익 목적)
    가격이 오를지 내릴지를 예측해서 차익을 얻으려는 사람들.
  2. 기업 (위험 회피 목적)
    예: 원유를 많이 쓰는 항공사 → 유가 급등이 두려움 → 미리 유가를 고정해두기 위해 선물 계약!
  3. 기관투자자
    주가 지수 하락 위험에 대비해 지수선물로 헤지 전략 사용.

📊 선물의 주요 특징 5가지

  1. 레버리지 효과
    소액으로 큰 금액을 움직일 수 있음 (예: 증거금의 10배 이상 거래 가능)
    → 수익도 크지만, 손실도 클 수 있음 ⚠️
  2. 만기일 존재
    선물 계약은 언제까지 거래할지 정해져 있어요.
    만기일이 되면 결제를 하거나, 차익만 정산하고 종료합니다.
  3. 공매도처럼 하락에 베팅 가능
    가격이 내려갈 것 같다면 **매도(숏포지션)**를 취할 수 있음.
  4. 현물 없이도 거래 가능
    실물 자산이 없어도 가격 변동성만으로 수익 가능
  5. 위험도 매우 높음
    초보자가 아무 정보 없이 뛰어들었다간 큰 손실 위험 ❗

🧠 실제 사례: 코스피200 선물

국내 대표적인 선물 상품 중 하나가 코스피200 선물입니다.

  • 코스피200은 대표 우량주 200개 종목의 묶음
  • 코스피200 지수가 오를 것 같으면 선물 매수, 떨어질 것 같으면 선물 매도

✅ 개인투자자도 거래 가능하지만,
주식보다 변동성이 크고 리스크도 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정리하며: 선물은 ‘미래를 거래하는 계약’

**선물(Futures)**은 단순히 “미래에 거래하자”는 약속이 아닙니다.
그 안에는 예측, 위험 관리, 차익 거래 등 다양한 전략이 담겨 있죠.

✔ 선물은 고수익 가능성도 있지만,
✔ 고위험 상품이라는 점을 절대 잊지 마세요!


💬 여러분은 선물 거래를 해본 적 있나요?

궁금한 용어나 경험이 있다면 댓글로 함께 나눠보아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