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주식 용어 쉽게 배우기: '선물(Futures)'이란?
주식이나 투자에 조금 관심을 가지다 보면 ‘선물’이라는 용어를 자주 듣게 됩니다.
하지만 막상 ‘선물’이 정확히 뭐냐고 물어보면 설명하기가 쉽지 않죠.
“그거 미래에 거래하는 거 아냐?”
“어려워 보여서 그냥 패스...”
그런 분들을 위해 오늘은 ‘선물(Futures)’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실제 투자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 선물(Futures)이란?
선물은 ‘미래의 일정 시점에, 특정 자산을 지금 정한 가격으로 사고팔기로 약속하는 거래’입니다.
말 그대로 ‘미래(Future)’에 대한 약속이죠.
✔ 예를 들어 볼게요
- 현재 A라는 상품(예: 석유, 주가지수, 주식 등)이 100원입니다.
- 나는 1개월 후 이 상품 가격이 오를 것 같아요.
- 그래서 ‘1개월 후에 이 상품을 100원에 사기로’ 지금 계약해놓는 거예요.
1개월 후 실제 가격이 120원이 됐다면?
- 나는 100원에 사기로 약속했으니 20원 이익!
반대로 80원이 되면?
- 약속한 가격(100원)에 사야 하니까 20원 손실 😥
📦 선물 거래의 대상은?
선물은 생각보다 다양한 자산을 거래 대상으로 합니다.
거래 대상 | 예시 |
원자재 | 석유, 금, 은, 옥수수, 커피 등 |
통화 | 달러, 유로, 엔화 등 |
금리 | 미국 국채 등 |
지수 | 코스피200, 나스닥100 등 |
비트코인 | 암호화폐 선물도 존재! |
🔄 선물과 현물의 차이는?
구분 | 현물 거래 (Spot) | 선물 거래 (Futures) |
시점 | 지금 사고 지금 받음 | 지금 약속하고 나중에 거래 |
가격 | 현재 시세 | 미래 시점의 가격을 지금 정함 |
목적 | 보통 실물 구입 목적 | 투자, 투기, 또는 헤지(위험 회피) 목적 |
💡 선물 거래는 누가 할까?
- 투자자 (수익 목적)
가격이 오를지 내릴지를 예측해서 차익을 얻으려는 사람들. - 기업 (위험 회피 목적)
예: 원유를 많이 쓰는 항공사 → 유가 급등이 두려움 → 미리 유가를 고정해두기 위해 선물 계약! - 기관투자자
주가 지수 하락 위험에 대비해 지수선물로 헤지 전략 사용.
📊 선물의 주요 특징 5가지
- 레버리지 효과
소액으로 큰 금액을 움직일 수 있음 (예: 증거금의 10배 이상 거래 가능)
→ 수익도 크지만, 손실도 클 수 있음 ⚠️ - 만기일 존재
선물 계약은 언제까지 거래할지 정해져 있어요.
만기일이 되면 결제를 하거나, 차익만 정산하고 종료합니다. - 공매도처럼 하락에 베팅 가능
가격이 내려갈 것 같다면 **매도(숏포지션)**를 취할 수 있음. - 현물 없이도 거래 가능
실물 자산이 없어도 가격 변동성만으로 수익 가능 - 위험도 매우 높음
초보자가 아무 정보 없이 뛰어들었다간 큰 손실 위험 ❗
🧠 실제 사례: 코스피200 선물
국내 대표적인 선물 상품 중 하나가 코스피200 선물입니다.
- 코스피200은 대표 우량주 200개 종목의 묶음
- 코스피200 지수가 오를 것 같으면 선물 매수, 떨어질 것 같으면 선물 매도
✅ 개인투자자도 거래 가능하지만,
주식보다 변동성이 크고 리스크도 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정리하며: 선물은 ‘미래를 거래하는 계약’
**선물(Futures)**은 단순히 “미래에 거래하자”는 약속이 아닙니다.
그 안에는 예측, 위험 관리, 차익 거래 등 다양한 전략이 담겨 있죠.
✔ 선물은 고수익 가능성도 있지만,
✔ 고위험 상품이라는 점을 절대 잊지 마세요!
💬 여러분은 선물 거래를 해본 적 있나요?
궁금한 용어나 경험이 있다면 댓글로 함께 나눠보아요 😊
728x90
반응형
'이것저것 공부하기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주식 용어 비교: 선물 vs 옵션, 뭐가 다를까? (0) | 2025.05.26 |
---|---|
🎯 주식 용어 제대로 이해하기: '옵션(Options)'이란? (1) | 2025.05.23 |
📈 주식 용어 제대로 알기: '헤지(Hedge)'란 무엇일까? (1) | 2025.05.21 |
🔶 작전주란? (1) | 2025.05.20 |
🔶 급등주란? (1)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