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금융 뉴스나 은행 안내문을 보다 보면 “이게 무슨 뜻이지?” 싶은 단어들이 많아요.
오늘은 자주 등장하지만 헷갈리는 금융 분야 용어를 쉽고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1. 🏦 예금 (Deposit)
은행이나 금융기관에 돈을 맡기는 것.
- 정기예금: 일정 기간 동안 맡기고, 기간이 끝나면 이자와 함께 받는 상품
- 보통예금: 아무 때나 입출금 가능
2. 💵 적금 (Installment Savings)
매달 일정 금액을 정해진 기간 동안 저축하는 상품.
예: 매달 30만 원씩 1년 적금 → 만기 시 원금 + 이자 수령
3. 📈 이자 (Interest)
돈을 빌려주거나 은행에 예금했을 때 받는 돈.
- 대출자는 이자를 내고, 예금자는 이자를 받음
4. 📉 대출 (Loan)
은행이나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리는 것.
- 주택담보대출: 집을 담보로 받는 대출
- 신용대출: 담보 없이 신용도로 받는 대출
5. 📊 금리 (Interest Rate)
이자의 비율.
- 예: 연 3% 금리 → 100만 원 예금 시 1년 뒤 3만 원 이자
6. 📄 신용등급 (Credit Rating)
돈을 잘 갚을 수 있는 능력을 점수나 등급으로 나타낸 것.
등급이 높을수록 대출이 쉽고 금리가 낮음.
7. 🪙 주식 (Stock)
회사가 발행한 ‘소유권의 일부’를 나타내는 증서.
주식을 사면 회사의 일부를 소유하게 되고, 주가 상승 시 차익을 얻을 수 있음.
8. 📉 채권 (Bond)
기업이나 정부가 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는 증서.
만기일에 원금과 이자를 돌려줌.
주식은 ‘소유권’, 채권은 ‘빚문서’라고 이해하면 쉬움.
9. 💱 환율 (Exchange Rate)
다른 나라 돈과 우리 돈을 교환하는 비율.
예: 1달러 = 1,300원
10. 📋 펀드 (Fund)
여러 사람의 돈을 모아 전문가가 주식·채권 등에 투자하는 금융상품.
- 장점: 전문가가 운용 → 직접 투자보다 부담 적음
- 단점: 수익이 보장되지 않음
11. 🛡 예금자보호제도 (Deposit Protection)
은행이 문을 닫아도, 1인당 최대 5,000만 원까지 예금을 보호해주는 제도.
12. 📅 만기 (Maturity)
예금·적금·채권 등에서 계약이 끝나는 날짜.
만기일에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음.
✍ 마무리
금융 용어를 알아두면 은행 창구에서 상담받을 때나 금융상품을 고를 때 훨씬 유리합니다.
다음에는 금융 용어 퀴즈 버전으로 찾아올게요.
📌 추천 태그:
#금융상식 #금융용어 #예금 #적금 #금리 #주식 #채권 #펀드
728x90
반응형
'이것저것 공부하기 >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초등·중학생 경제 상식 퀴즈 (정답 포함) (3) | 2025.08.17 |
---|---|
📌 초등·중학생이 알아두면 좋은 경제 상식 용어 (4) | 2025.08.16 |
📌 경제 상식 퀴즈 모음 (정답 포함) (1) | 2025.08.14 |
📌 경제 분야 필수 상식 용어 정리 (2) | 2025.08.13 |
⚖️ 초등·중학생을 위한 쉬운 법률 상식 퀴즈 (5) | 202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