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공부하기/일반상식

📌 초등·중학생이 알아두면 좋은 금융 상식

728x90
반응형

금융은 ‘돈을 어떻게 쓰고, 모으고, 빌리고, 불릴까?’에 관한 이야기예요.
은행이나 뉴스에서 많이 들었던 어려운 단어를 오늘 쉽게 배워봅시다.


1. 🏦 예금

은행에 돈을 맡기는 거예요.

  • 보통예금: 아무 때나 입출금 가능
  • 정기예금: 일정 기간 돈을 맡겨두고, 만기 때 원금+이자 받기

예: 100만 원을 1년 정기예금 → 1년 뒤 102만 원 받기(금리 2%일 경우)


2. 💵 적금

매달 정해진 금액을 일정 기간 동안 꾸준히 저축하는 상품이에요.

 

예: 한 달에 5만 원씩 12개월 적금 → 원금 60만 원 + 이자


3. 📈 이자

돈을 빌려주면 받는 돈, 돈을 빌리면 내야 하는 돈이에요.

 

예: 은행에 돈을 맡기면 ‘이자’를 받고, 은행에서 빌리면 ‘이자’를 내요.


4. 📉 대출

은행이나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리는 거예요.

  • 신용대출: 담보 없이 신용으로 받는 대출
  • 담보대출: 집이나 차 같은 재산을 맡기고 받는 대출

5. 📊 금리

이자의 비율이에요.

 

예: 금리 3% → 100만 원을 맡기면 1년 뒤 3만 원 이자


6. 📄 신용등급

돈을 잘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점수나 등급이에요.
점수가 높으면 대출이 쉽고, 금리가 낮아요.


7. 🪙 주식

회사의 ‘소유권’ 일부를 사는 거예요.
주식 가격이 오르면 팔아서 이익을 낼 수 있어요.


8. 📉 채권

회사나 정부가 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는 증서예요.
정해진 날짜(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돌려줘요.

 

주식은 ‘회사 지분’, 채권은 ‘돈 빌려준 증거’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9. 💱 환율

다른 나라 돈과 우리 돈을 바꾸는 비율이에요.

 

예: 1달러 = 1,300원
환율이 오르면 달러로 물건을 사기가 비싸져요.


10. 🛡 예금자보호제도

은행이 망해도, 1인당 최대 5,000만 원까지 예금을 보호해주는 제도예요.


11. 📅 만기

계약이 끝나는 날이에요.
예금이나 적금은 만기일에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어요.


✍ 마무리

금융 용어를 알고 있으면, 은행 창구나 뉴스 속 ‘어려운 말’이 훨씬 쉽게 들려요.
다음에는 퀴즈로 복습해서 머릿속에 오래 남게 해드릴게요.

 

 

📌 추천 태그:
#금융상식 #금융용어 #초등금융 #중학생금융 #경제공부 #돈공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