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 주소 지정 방식에 대한 기본 개념
문제: 다음 중 주소 지정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요?
- 직접 주소 지정 방식은 명령어 내에 메모리 주소를 포함한다.
- 간접 주소 지정 방식은 명령어 내에 포함된 주소가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가리킨다.
- 즉시 주소 지정 방식은 명령어 내에 데이터 값 자체가 포함된다.
-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은 메모리의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참조한다.
정답: 4번
해설: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은 메모리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CPU 내의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참조합니다. 4번은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에 대한 잘못된 설명입니다.
문제 2: 즉시 주소 지정 방식
문제: 다음 명령어에서 사용된 주소 지정 방식은 무엇인가요? MOV AX, #5
- 직접 주소 지정 방식
- 간접 주소 지정 방식
- 즉시 주소 지정 방식
-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정답: 3번
해설: MOV AX, #5에서 #5는 즉시 값을 의미합니다. 즉시 주소 지정 방식은 명령어 내에 데이터 값이 바로 포함되어 있는 방식입니다.
문제 3: 간접 주소 지정 방식
문제: 다음 명령어에서 사용된 주소 지정 방식은 무엇인가요? MOV AX, [BX]
- 직접 주소 지정 방식
- 간접 주소 지정 방식
- 즉시 주소 지정 방식
-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정답: 2번
해설: MOV AX, [BX]에서 BX는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BX의 값을 메모리 주소로 사용하여 해당 메모리 위치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간접 주소 지정 방식입니다.
문제 4: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문제: 다음 명령어에서 사용된 주소 지정 방식은 무엇인가요? MOV AX, BX
- 직접 주소 지정 방식
- 간접 주소 지정 방식
- 즉시 주소 지정 방식
-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정답: 4번
해설: MOV AX, BX에서 AX와 BX는 모두 레지스터입니다. 따라서 이는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에 해당합니다. 메모리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레지스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합니다.
문제 5: 베이스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문제: 다음 명령어에서 사용된 주소 지정 방식은 무엇인가요? MOV AX, [BX + SI]
- 간접 주소 지정 방식
- 인덱스 주소 지정 방식
- 베이스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정답: 3번
해설: MOV AX, [BX + SI]는 베이스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입니다. BX는 베이스 주소, SI는 인덱스로 합쳐져 실제 메모리 주소를 계산하여 데이터를 읽어옵니다. 베이스 레지스터와 인덱스 레지스터를 조합하여 주소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문제 6: 즉시 주소 지정 방식
문제: 즉시 주소 지정 방식에 해당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요?
- MOV AX, 1000h
- MOV AX, [1000h]
- MOV AX, [BX]
- MOV AX, SI
정답: 1번
해설: MOV AX, 1000h는 즉시 주소 지정 방식으로, 명령어 내에 1000h라는 데이터 값이 직접 포함되어 있습니다. 반면, 다른 선택지들은 메모리 주소나 레지스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제 7: 스택 주소 지정 방식
문제: 다음 명령어에서 사용된 주소 지정 방식은 무엇인가요? PUSH AX
- 간접 주소 지정 방식
- 스택 주소 지정 방식
-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 즉시 주소 지정 방식
정답: 2번
해설: PUSH AX 명령은 스택 주소 지정 방식을 사용하여 AX 레지스터의 값을 스택에 푸시하는 동작입니다. 스택은 데이터를 후입선출(LIFO)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문제 8: 인덱스 주소 지정 방식
문제: 다음 명령어에서 사용된 주소 지정 방식은 무엇인가요? MOV AX, [BX + 4]
- 간접 주소 지정 방식
- 인덱스 주소 지정 방식
-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 즉시 주소 지정 방식
정답: 2번
해설: MOV AX, [BX + 4]는 인덱스 주소 지정 방식입니다. BX는 기본 주소이고, 4는 인덱스 값으로 사용됩니다. 이 두 값을 더해 실제 메모리 주소를 계산하여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문제 9: 절대 주소 지정 방식
문제: 다음 명령어에서 사용된 주소 지정 방식은 무엇인가요? MOV AX, [3000h]
- 절대 주소 지정 방식
- 간접 주소 지정 방식
-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 즉시 주소 지정 방식
정답: 1번
해설: MOV AX, [3000h]에서 3000h는 절대 주소입니다. 절대 주소 지정 방식은 명령어 내에 포함된 주소가 바로 메모리 주소를 나타내며, 그 주소에 직접 접근합니다.
문제 10: 주소 지정 방식의 장점과 단점
문제: 주소 지정 방식 중, 간접 주소 지정 방식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요?
-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
- 메모리 주소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유연하다.
- 명령어가 간단하다.
- CPU 레지스터 간의 빠른 전송이 가능하다.
정답: 2번
해설: 간접 주소 지정 방식의 가장 큰 장점은 메모리 주소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유연하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동적 메모리 관리가 가능하며, 다양한 데이터 구조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컴퓨터 > 컴퓨터 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 기능사 - DMA(Direct Memory Access) 문제 (0) | 2025.02.06 |
---|---|
정보처리 기능사 - DMA(Direct Memory Access) (0) | 2025.02.06 |
정보처리 기능사(주소지정방식) (0) | 2025.02.05 |
2025, 컴퓨터 시험 일정 알아 보기 (0) | 2025.01.31 |
정보처리 기능사(채널:Channel) 문제 예시 (1)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