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베이스 개념 문제
(1)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실시간 접근이 가능하다.
②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공유할 수 있다.
③ 데이터의 중복을 최대화하여 저장한다.
④ 데이터의 독립성이 보장된다.
➡ 정답: ③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는 것이 데이터베이스의 중요한 특징!)
(2) 데이터베이스의 정의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해 계층적으로 정리한 파일
② 여러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통합하여 저장한 데이터의 집합
③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분리하여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는 시스템
④ 특정 데이터를 빠르게 찾기 위해 별도로 저장한 데이터
➡ 정답: ② (데이터베이스는 공유 가능하고, 통합적으로 관리되는 데이터 집합이다.)
2. 데이터 모델 관련 문제
(3) 데이터 모델 중 관계형 데이터 모델(RDB)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데이터를 테이블(표) 형태로 저장한다.
② 테이블 간의 관계를 외래 키(Foreign Key)로 연결한다.
③ 데이터를 트리 구조로 저장한다.
④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데이터의 중복을 줄인다.
➡ 정답: ③ (트리 구조는 계층형 데이터 모델의 특징!)
(4)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서 두 개의 테이블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키(Key)는?
① 기본 키(Primary Key)
② 외래 키(Foreign Key)
③ 후보 키(Candidate Key)
④ 대체 키(Alternate Key)
➡ 정답: ② (외래 키는 다른 테이블의 기본 키를 참조하여 관계를 설정한다.)
3. SQL 관련 문제
(5)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을 생성하는 SQL 명령어는?
① CREATE TABLE
② INSERT INTO
③ UPDATE
④ DELETE
➡ 정답: ① (CREATE TABLE은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하는 명령어!)
(6) 다음 SQL 문 중 잘못된 것은?

4. 정규화 관련 문제
(7) 정규화(Normalization)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해
②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저하시킬 목적으로
③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④ 데이터 삽입, 삭제, 갱신 이상을 방지하기 위해
➡ 정답: ② (정규화는 성능 저하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8) 다음 중 제1정규형(1NF)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각 컬럼이 원자값(Atomic Value)을 가져야 한다.
② 부분 함수적 종속을 제거해야 한다.
③ 이행적 종속을 제거해야 한다.
④ 테이블을 여러 개로 분리해야 한다.
➡ 정답: ① (1NF는 각 필드(컬럼)가 원자값을 가져야 한다는 원칙을 의미한다.)
5. 트랜잭션과 무결성 관련 문제
(9) 데이터베이스의 트랜잭션(Transaction)이 가져야 할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원자성(Atomicity)
② 일관성(Consistency)
③ 독점성(Exclusivity)
④ 지속성(Durability)
➡ 정답: ③ (ACID 원칙에는 **고립성(Isolation)**이 있지만 독점성이라는 개념은 없음.)
(10)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의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기본 키는 중복될 수 없다.
② 한 테이블의 외래 키 값은 반드시 다른 테이블의 기본 키 값을 참조해야 한다.
③ 테이블 내의 컬럼 값은 허용된 데이터 유형이어야 한다.
④ 트랜잭션이 수행된 후에는 그 결과가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
➡ 정답: ② (외래 키가 가리키는 값이 기본 키 값으로 존재해야 하는 것이 참조 무결성의 원칙!)
'컴퓨터 > 컴퓨터 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 기능사 - 데이터베이스의 종류 문제 (0) | 2025.04.01 |
---|---|
정보처리 기능사 - 데이터베이스의 종류 (0) | 2025.03.31 |
정보처리 기능사 -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0) | 2025.03.27 |
정보처리 기능사 - 보조기억장치(Secondary Storage) 문제 (0) | 2025.03.14 |
정보처리 기능사 - 보조기억장치(Secondary Storage) (0) | 2025.03.13 |